교통난 해소·매연감소 효과 기대
퇴출 반세기만에 '미래교통' 주목
가시권 성남·수원, 3~5년내 '시동'
적자 경전철 사례 되풀이 우려도트램(노면전차)은 우리에게 낯선 교통수단이다. 도로 위를 자동차들과 함께 달리는 트램은 해외여행에서나 경험해본 게 전부다. 우리에게는 1968년까지 서울에서 운행됐던 트램이 마지막 기억이다. 퇴물이 된 트램이 반세기 만에 환생을 꿈꾸고 있다.
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포화상태의 대중교통 타개책으로 건설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트램건설을 본격적으로 추진, 그 수가 점차 늘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중심의 교통 패러다임을 다시 사람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철학적 배경도 있다. 성남·수원·화성 등 도내 지자체들은 이같은 트램부활의 선두권에 서 있다.
반면 우려도 만만치 않다. 무분별한 트램도입은 경제성 예측 실패로 막대한 적자운영의 대명사가 된 경전철의 사례를 되풀이 할 수 있어서다. 지자체들의 트램도입 현황과 이유 등을 분석하고, 올바른 트램도입 방향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트램부활을 이끄는 주인공들은 경기도내 지자체들이다. 수원·성남·화성·안성·오산·광명·시흥·파주·평택·용인 등 현재 도내 10개 지자체에서 트램도입을 검토·추진 중이다. 일부 지역은 노선이나 공사방법 등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워져 있다.
도내 지자체들의 트램도입 추진은 지난 2013년에 고시된 '경기도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에 근거한다. 이 계획은 친환경적인 대중교통수단 확보 차원에서 기획됐다. 이 계획에는 9개 트램노선(136.1㎞)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투입예산만 5조8천573억원이 들어가는 매머드급 사업이기도 하다.
현재 트램도입이 가시권에 들어선 곳은 수원·성남시다. 수원시는 이미 지난 3월 민간자본 적격성에 대한 검토를 KDI에 의뢰하고, 4월 노면전차 도입을 위한 지자체 협의체를 구성했다. 성남시는 자체예산으로 트램건설 추진계획을 밝혔다.
수원시 트램은 오는 2020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보러오는 관광객과 수원야구장을 찾는 원정야구팬들에게 편리한 교통수단을 제공해 교통체증과 매연을 줄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성남시도 판교일대 교통난 해결책으로 트램설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달 말까지 트램기본설계를 추진하고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2018년 말 운행하는 게 목표다.
화성 역시 동탄 2신도시 광역교통대책의 일환으로 트램을 추진 중이다. 특히 화성은 오산시와 수원을 연결하는 노선을 구상중으로 현재 용역 중이다. 이 때문에 오산시도 '동탄생활권' 공유 등에 따라 트램설치에 기대감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성시도 지난해 3월을 시작으로 올해 12월까지 사전 타당성조사 용역을 진행한 뒤 본격적인 행정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밖에 광명~시흥선(천왕역/개봉역~광명역), 파주(운정신도시~킨텍스), 평택~안성선(서정리역~안성터미널), 용인선연장(광교~구갈) 등도 트램이 추진되는 지역들이다.
서상교 경기도 철도국장은 "미래 대중교통 수단으로 주목받는 트램건설을 위해 도내 지자체들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트램부활의 신호탄도 경기도에서 터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진기자 lkj@kyeongin.com